2023년 5월27일, 경북 울진에 있는 구수곡자연휴양림 야영장을 찾아갔습니다. 주말에 비가 예보되어 있어 우중캠핑이 되었습니다. 고속도로를 타지 않고 문경, 예천, 영주, 봉화를 거쳐 울진군에 접어들어, 전에 들렀던 통고산자연휴양림 진입도로와 갈라져 얼마를 더 주행하자 여기저기 화마가 덮쳐 불에 탄 나무들이 많이 눈에 띄었습니다. 엄청 넓은 지역에 산불의 흔적이 남아 있었습니다. 휴양림에 도착하면 정작 푸른 나무보다 불에 탄 나무만 보게 되지 않을까.... 야영장에 이르기까지 정말 많은 산림이 불에 탔더군요.
야영장은 한적한 시골 마을에 접해 있습니다. 평탄화작업이 되어 있는 야영장 앞 계곡은 여름엔 물을 막아 물놀이장으로 이용하는 듯 합니다.
구수곡의 이모저모

계곡.

야영장 앞 아치교.

카라반 숙소.

임도(산책길)

금강송 숲길 안내도.

숲속 전망대.

전망대에서 내려다본 풍경.




산불의 흔적들- 뜨거운 불길에 흘러내린 송진.
야영장 테크 소개.
데크의 크기(넓이)는 숲나들이에 4.0m×4.0m과 3.7m×3.3m의 두 가지로 소개하고 있으나, 실제 데크의 크기와는 차이가 있습니다. 괄호 안의 숫자가 실측한 데크의 크기입니다(단위: m).

야영장 데크 배치도.

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14번(3.6×3.0), 15번(3.9×3.8), 16번(3.9×3.9), 10번(4.0×4.0), 9번(4.0×3.9), 8번(4.0×4.0) 데크. 중앙은 개수대.

왼쪽부터 무지개다리 앞 7번(3.6×3.2), 13번(3.6×2.8), 6번(3.7×2.8), 5번(3.6×2.8), 4번(3.6×2.8) 데크.

왼쪽 앞부터 시계 방향으로 12번(3.6×2.8), 3번(3.6×2.8), 2번(3.9×3.8), 1번(3.8×3.8), 11번(3.8×3.8) 데크.

왼쪽 앞부터 시계 방향으로 27번(3.5×3.3), 26번(3.5×3.2), 25번(3.6×2.8), 37번(3.6×3.3), 38번(3.6×2.7), 39번(3.5×3.2), 40번(3.5×2.8) 데크. 원탁이나 사각탁자가 곁에 있는 데크도 있습니다.

왼쪽부터 18번(3.9×3.9), 19번(3.9×3.8), 17번(4.0×4.0) 데크. 화장실과 샤워장이 가까이 있어 이용이 편리한 반면, 사람 왕래가 잦아 안온함은 떨어질 수 있습니다. 샤워장의 온수는 아주 잘 나옵니다.

왼쪽부터 28번(4.0×3.8), 30번(3.8×3.8), 29번(뒷편:4.0×3.9), 31번(3.9×3.8), 32번(3.6×2.8) 데크.

왼쪽 뒤부터 시계방향으로 33번(3.6×3.2), 34번(3.6×2.8), 35번(3.6×2.8), 36번(3.5×2.8), 24번(비닐 우측:3.6×2.8), 23번(비닐:3.6×2.8), 22번(3.6×2.8), 21번(3.6×3.3), 20번(3.6×3.3) 데크.
구수곡자연휴양림의 야생화

붓꽃(?).

금계국

개망초

?

돌나물

기린초

밤나무꽃.

붉은나리.

초롱꽃.

울진 바닷가에 피어난 갯메꽃.
'자연과 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월악산국립공원 덕주야영장 (0) | 2023.08.05 |
---|---|
만수산자연휴양림 야영장 (0) | 2023.07.01 |
운장산자연휴양림 야영장과 운일암 반일암 계곡 (0) | 2023.05.09 |
박달재자연휴양림 제2야영장 (0) | 2023.05.09 |
오서산자연휴양림 야영장 (0) | 2022.12.04 |